레이블이 iO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iO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3월 16일 목요일

Unity Remote 5 iOS 연결하기

유니티 리모트라는 앱은 알고 있기는 오래 됐는데,
생각보다 잘 동작하지 않는 느낌에 그다지 활용하고 있지 않았다.

우연히 유니티 리모트를 이용한 터치이벤트 확인에 관한 글을 보다가 (https://eastfever.blogspot.kr/2017/02/unity3d-unity-remote.html)

유니티 리모트 버전 5가 나왔었음을 깨닫고 한번 테스트 해보았다.

와우...!
일단 디자인이 예전보다 훨씬 볼만해졌다.
유니티5로 통일된 깔끔한 디자인!
뭔가 좋아보인다.

사용법도 더(?) 간단해졌는데,
Edit > Project Settings > Editor 에 들어가서 Device를 세팅하면 끝이다.

기본적으로는 내 아이폰이 보이지 않는다.
유선으로 연결하면 풀다운 리스트에 나타난다.
내 경우는 굳이 유니티를 재시작하지 않아도 표시되었다.


복잡한 설정 없이 케이블만 연결하고 바로 쓸 수 있는 점은 좋지만,
아무래도 압축된 화면이라 그래픽이 깨져보이거나, 
터치했을 때 폰에서 보이는 반응이 늦는 것은 어쩔 수 없다.

터치 이벤트만 받고 유니티에서 돌아가는 것을 보는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빌드 시간을 아껴서 초기기동 문제 확인 하는 정도로 사용하면 좋을 듯 하다.

MacBook Pro, iPhone 6s+ 에서 확인

2017년 1월 30일 월요일

Live2D iOS Build 했을 때 얼굴 텍스쳐가 깨져 보이는 문제 해결

이번 설 연휴는 인디게임 제작에 많이 사용했다.

주로 노가다 하는데 사용했는데,
이번 프로젝트는 애니메이션 처리를 어떻게 할까 고민하다가 Live2D 를 사용하기로 했다.

인디팀으로 3인조인 우리에게
일일히 유니티 기능을 다 가르치는 것보다,
Live2D 애니메이터 툴을 사용하는 편이
일반인이 보편적인 개념으로 키 애니메이션 잡기에 좋을 것 같다고 판단했기 때문

그리고 유니티 소스를 건드리다가 사고가 나는 경우도 적을 것이고...
모델링은 내가 할 수 밖에 없는게 문제지만

그래서 여주인공을 모델링 했다.
(한명 만드는데 시행착오가 많아서 10번쯤 다시 만든듯... ㅠㅠ 약 30시간 정도 소비)


이 과정에서 발생한 귀찮고 심각한 문제가 하나 있다.

안드로이드 빌드에서는 문제가 없었는데,
같은 세팅의 iOS 빌드 에서는 그래픽이 꺠져보이는 현상이 발생했다.



좀 찾아보니 텍스쳐 랜더 관련 문제인 것 같아서
해당하는 모델 데이터의 텍스쳐 세팅을 바꿔준다.




기껏 만든 모델이다 고해상도라 조금 부담은 되지만,
그래도 깔끔하게 보여지고 싶었기에 아래와 같이 변경.

Override for iOS
Texture Size 설정 (1:1)
RGBA 16Bit

이렇게 해서 확인해보면 해결!

------------

아마 유니티 5.5 이후 버전에서 뭔가 바뀌면서 발생한 문제인 듯.
옛날에는 경험한 적이 없다.

작업한 캐릭터도,
나중에 좀 정리가 되었을 때 블로그에서 소개할 수 있을 정도가 되면 좋겠다.. ^^;

2017년 1월 18일 수요일

맥과 아이폰의 배터리 확인 앱 - 코코넛 배터리

요새 날씨가 추운 탓인지, 아이폰의 문제 탓인지 몰라도
배터리가 훅훅 닳는다.

추우니까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은 하는데,
그렇게 생각하기에는 실내에서도 너무 빨리 닳는 것을 경험중
이제 만 1년 지났으니 그럴만도한가 싶었는데...

너무 비인도적으로 빨리 닳아서 어쩔까 고민하다가..
일단 배터리 헬스를 체크해봤다.

여기서 추천하는 것이 맥용 어플리케이션인 코코넛 배터리 (coconutBattery)

깔끔하게 맥의 배터리 헬스를 체크할 수 있는 앱이었는데
몇년전 업데이트 부터 아이폰도 가능해졌다.

# 코코넛 배터리

<맥북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


<아이폰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


음.. 할말을 잃었다.
배터리 성능이 50% 이하로 떨어져있었다.
용케도 쓰고 있었군...

조만간 센터에 방문해서 교체 받아야겠다.
(보증기간은 지났지만 다행히 작년 말에 애플 케어를 가입해두었다. ㅠㅠ )


코코넛배터리 - 기부 형태의 앱 - MacOS 전용
http://www.coconut-flavour.com/coconutbattery/

2017년 1월 1일 일요일

Synology NAS 의 가상 호스팅 기능을 이용해서 ComicGlass 웹서버를 준비하자.

ComicGlass, 3GS 시절부터 사용했으니 정말 사용한지 오래 된 앱이다.
개인적으로는 코믹뷰어의 끝판왕이라고 생각 중이다.

iOS 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NAS도 사용한지 오래 됐다.
내가 사용하는 NAS는 Synology DS712+ 이다.

SMB 를 통해서 집 안에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었는데, 외부에서 보려니까 조금 불편했다.
웹서버에 올려놓고 조금 써봤지만, 같은 호스트 주소라 불편한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가상 호스팅 기능을 적용했었는데, 세팅하다 잘 안되서 방치 했다.
그런데 최근에 우연히 다시 해보니까 그냥 되더라 (스크립트나 쉘에서 설정할 것이 거의 없었다.)
Synology OS 가 업데이트 되면서 뭔가 더 편해진 것 같다.

된 김에 방법을 정리해서 올려본다.
이미지가 있는 상세한 방법은 나중에 올리기로 하고 미리 보실 분들은 참고 하시길..

Nas용 Index.php 파일은 과거에 내가 짜둔게 있긴 했는데, 몇년 지나고 보니 이미 오피셜로 배포중이더라.
코드를 보니 내가 짠 것 보다 월등한 것 같아서 굳이 공개하지 않고 공식 다운로드 주소를 아래에 링크한다.

[준비물 : Synology NAS, iPhone, ComicGlass, ComicGlass Nas용 index.php (http://comicglass.net/transfer/nas/)]

1. 시놀로지 접속, 웹탑화면에서 WebStation 실행 (없으면 패키지 설치)
2. Virtual Hosting 항목 열기
3. 포트로 하기 설정 ( 대충 8080 이나 8081 같은 것을 지정)
4. ComicGlass 데이터 폴더 설정
5. 공유기 (라우터)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 
6. php 열어서 아이디와 비밀번호 설정 (comicuser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다.)
   NAS 계정과 무관하게 단독으로 사용해야 한다.
7.iOS 에서 ComicGlass 실행
8. 다운로드 주소 등록 -> 해당 주소에 NAS:설정한포트 입력 
9. ComicGlass 에서 접속 시도, ID와 PW 입력
10. 끝! 즐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