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는 수동으로 NAS의 RAID 와 사용 용량을 관리했었는데,
개인용 스토리지다 보니 비용상 관리상 문제로 업무용 스토리지처럼 딱딱 투자하기가 어렵다.
과거에는 무척 열심히 관리했었는데 지금은 용량도 커지고 여러모로 무리.
그래서 증오하던(?) SHR (시놀로지 하이브리드 레이드)로 변경하려고 결심
당장은 힘들고, 일단 임시 하드로 새로 구성하려고 계산기를 두들겨 보았다.
계산에 도움을 주는 웹사이트가 있어서 북마크.
https://www.synology.com/en-us/support/RAID_calculator
필요한 하드를 선택해서 장착하면, 각종 레이드를 적용했을 때 실 가용 용량과 디스크 복구에 사용되는 용량을 보여준다.
SHR1의 장점은 서로 다른 용량의 디스크로 레이드를 시도해도 대체적으로 가능한 한 큰 용량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점이다.
거기다가 유지보수에도 용이 한데
추후 하드를 업그레이드 해야 할 일이 있어도 별도의 추가 스토리지 머신 없이
디스크를 작은 용량 부터 한장 빼고 교체 후 복구 하는 방식으로 모든 디스크를 교체 하면
더 큰 용량의 새 디스크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사실 이부분은 Raid5랑 같다 ^^;; )
초보자 or 귀찮은 사람에게는 대부분 유리한 SHR 이지만,
큰 주의사항이 몇개 있으니... 그것은...
[1]
새 디스크를 추가하려고 빈 디스크를 넣으면 자동으로 멋대로 하나의 스토리지로 엮어버린다.
물어보지도 않고 진행한다... <- 이 부분이 위험..
[2]
디스크 2개를 연결하면 무조건 Raid1로 시작한다.
전체 용량의 50% 를 복구용으로 사용해버리니 개인 사용자에게 타격이 크다.
2017년 3월 11일 토요일
2017년 1월 1일 일요일
Synology NAS 의 가상 호스팅 기능을 이용해서 ComicGlass 웹서버를 준비하자.
ComicGlass, 3GS 시절부터 사용했으니 정말 사용한지 오래 된 앱이다.
개인적으로는 코믹뷰어의 끝판왕이라고 생각 중이다.
iOS 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NAS도 사용한지 오래 됐다.
내가 사용하는 NAS는 Synology DS712+ 이다.
SMB 를 통해서 집 안에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었는데, 외부에서 보려니까 조금 불편했다.
웹서버에 올려놓고 조금 써봤지만, 같은 호스트 주소라 불편한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가상 호스팅 기능을 적용했었는데, 세팅하다 잘 안되서 방치 했다.
그런데 최근에 우연히 다시 해보니까 그냥 되더라 (스크립트나 쉘에서 설정할 것이 거의 없었다.)
Synology OS 가 업데이트 되면서 뭔가 더 편해진 것 같다.
된 김에 방법을 정리해서 올려본다.
이미지가 있는 상세한 방법은 나중에 올리기로 하고 미리 보실 분들은 참고 하시길..
Nas용 Index.php 파일은 과거에 내가 짜둔게 있긴 했는데, 몇년 지나고 보니 이미 오피셜로 배포중이더라.
코드를 보니 내가 짠 것 보다 월등한 것 같아서 굳이 공개하지 않고 공식 다운로드 주소를 아래에 링크한다.
[준비물 : Synology NAS, iPhone, ComicGlass, ComicGlass Nas용 index.php (http://comicglass.net/transfer/nas/)]
1. 시놀로지 접속, 웹탑화면에서 WebStation 실행 (없으면 패키지 설치)
2. Virtual Hosting 항목 열기
3. 포트로 하기 설정 ( 대충 8080 이나 8081 같은 것을 지정)
4. ComicGlass 데이터 폴더 설정
5. 공유기 (라우터)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
6. php 열어서 아이디와 비밀번호 설정 (comicuser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다.)
NAS 계정과 무관하게 단독으로 사용해야 한다.
7.iOS 에서 ComicGlass 실행
8. 다운로드 주소 등록 -> 해당 주소에 NAS:설정한포트 입력
9. ComicGlass 에서 접속 시도, ID와 PW 입력
10. 끝! 즐기세요.
피드 구독하기:
글 (Atom)